유래
미술사에서 기능주의(Functionalism)는 20세기 초에 시작된 운동으로, 예술이 특정한 목적이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믿음이 특징이다. 이 운동은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에 의해 설립된 독일의 바우하우스 학파와 종종 연관된다.
기능보다 화려한 디자인과 장식을 강조한 아르누보 운동의 과도한 장식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났다. 기능주의자들은 예술이 실용적이어야 하고 가구를 디자인하거나 미적으로 즐겁고 기능적인 건물을 만드는 것과 같은 유용한 목적을 제공해야 한다고 믿었다.
핵심 인물들 중 하나는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였는데, 그는 건물들이 순전히 장식적인 목적이 아니라 거주자들의 필요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또한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현대적인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믿었다.
가구 디자인과 산업 디자인과 같은 다른 예술 형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Marcel Breuer와 Mies van der Rohe와 같은 디자이너들은 날렵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강철과 가죽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기능적이고 능률적인 가구를 만들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미술사에서 기능주의는 디자인에서 실용성과 효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화려한 장식을 거부하고 디자인의 모든 측면에서 실용성과 기능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핵심인물
기능주의(Functionalism)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사회학 분야에서 나타난 이론적 접근법이다. 기능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는 데 있어 사회적 구조와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제도가 사회 전체를 위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회적 제도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주의의 대표적인 인물과 사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조명하고, 그들의 주장의 장단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기능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은 흔히 "사회학의 아버지"로 언급되는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이다 뒤르켐은 사회가 일련의 공유된 가치와 신념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이것을 "집단 의식"이라고 불렀다 뒤르켐에 따르면, 종교, 가족, 교육과 같은 사회적 제도들은 이러한 집단 의식을 유지하고 개인들이 그들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사회화되도록 하기 위해 존재한다. 뒤르켐은 또한 일탈과 범죄가 사회적 규범의 재확인과 사회적 유대의 강화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기능을 한다고 믿었다.
기능주의의 또 다른 핵심 인물은 더크하임의 아이디어를 확장한 미국 사회학자 탈콧 파슨스이다. 파슨스는 사회 시스템이 상호의존적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시스템 전체에 특정한 기능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사회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네 가지 필수 기능, 즉 환경 적응, 목표 달성, 다양한 부분의 통합, 패턴 유지를 확인했다. 파슨스는 또한 가족이 사회화의 주요 주체이며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아이들에게 주입시키는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는 데 사회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다른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명시적이고 잠재적인 기능에 대한 그의 개념으로 기능주의에 크게 기여했다. 머튼은 사회 제도가 의도된 결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대학의 분명한 기능은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지만, 사회적 유동성을 촉진하거나 사회적 위계질서를 강화하는 것과 같은 잠재적인 기능도 있을 수 있다. 머튼은 또한 사회 구조의 개념을 확인했는데, 그는 사회에서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패턴 배열로 정의했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능주의는 개인의 기관과 갈등을 희생시키면서 사회 질서와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비판론자들은 기능주의가 사회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권력과 불평등의 역할을 등한시하고 있으며, 모든 사회제도가 기능장애와 갈등의 가능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고 가정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결론적으로 기능주의는 사회학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이론적 관점이다. 에밀 더크하임, 탈콧 파슨스, 로버트 머튼은 이러한 관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세 명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기능주의는 그 한계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지만, 개인의 행동과 사회 전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사회 구조와 제도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도구로 남아 있다.